ARTISTS

CHUNG JI LEE

1980년대 단색조 회화로 국내외의 주목을 받아온 이정지 작가는 1990년대 중반부터 단색조의 거친 화면에 서체를 끌어들이면서 현재의 작품세계로 이어지는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단색의 화면은 캔버스 위에 롤러(roller)를 통해 바탕 전체를 색으로 덮고, 색 표면을 다시 나이프로 긁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궤적은 자연스럽게 시간의 흔적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작업은 습관적이고 형식적이기보다 작가의 순간의 기운과 정신에 힘입어 호흡과 신체의 움직임의 밸런스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우리에게 긍정의 메시지(message)를 전달하고 있다

biography

  • 1941 - 2021
    이정지
  • 1968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 (서양화) 졸업
  • 196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서양화) 졸업

개인전

  • 2020
    1990년대 단색조 회화 - 서체(書體)를 끌어들이다. (선화랑, Seoul)
  • 2018
    80년대 단색조 회화를 중심으로 (선화랑, Seoul)
  • 2017
    What “Art” You Doing Now? 2부 (선화랑, Seoul)
  • 2016
    What “Art” You Doing Now? 1부 (선화랑, Seoul)
  • 1972 - 2018
    국내외 30 여회 (서울, 뉴욕, 동경, 후쿠오카, 샌디에고 외 다수)

단체전

  • 2017
    Rhythm in Monochrome: Korean Abstract Painting
  • 2017
    Tokyo Opera city Art Gallery
  • 2017
    제7회 베이징 비엔날레, 북경 중국 국립 미술관
  • 2016
    “와우몽 50年7人7色” 월간미술세계 창간 32주년 기념 특별기획 초대전, 갤러리미술세계
  • 2015
    한국추상화가 15인의 어제와 오늘, 안상철 미술관
  • 2015
    제6회 베이징 비엔날레, 북경 중국 국립 미술관
  • 2015
    2015 미술여행-3, 가을프로젝트 “공존”, 양평 군립 미술관
  • 2014
    사유로서의 형식-드로잉의 재발견, Museum San
  • 2014
    현대여성작가 16인의 시선 展, 조선일보 미술관
  • 2013
    70’S Re-naissance展, 이브 갤러리
  • 2012
    한국 대만 현대회화 교류전
  • 2011
    제26회 아세아 국제미술전, 예술의 전당
  • 2010
    태극순환반전의 고리 展, 고려대학교 박물관
  • 2009
    한중 수교17주년 기념 특별 기획 초대, 베이징 상상미술관 외 다수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호암미술관, 금호문화재단, 토탈미술관, 선재현대미술관, 박수근 미술관,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안상철 미술관, 주택 공사 ·주식회사 신송· 한국 우덕문화재단

works

  • 「○」 - 21
    2005
  • 「○」 - 88 (Duet)
    2008
  • 「○」 - 223 (Misericordia)
    2016
  • 「○」 - 315 (The Great Lawn)
    2017
  • 「○」 - 318 (물로부터)
    2015
  • 「○」 - 1231
  • 「○」 - MARCOPOLOSILKROAD
    2016
  • ○ - 89
    1989